본문 바로가기
진주박공집│택지개발지역 #리모델링 #주택설계 #리노베이션 #카페 #상가주택 #인테리어 #택지개발지역 ▶택지개발지역, 또 도시가 만들어진다. 택지개발지역은 반듯한 토지구획과 지형이 평평한 평지로 구획되어 있다. 상업지역과, 주거지역과, 관공서,교육지역 등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구역을 나눠서 용도를 지정한다. 그리고 도시를 계획한다.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만들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성공적이든, 실패든 그 결과에 의해서 다른 도시개발에서 모범의 사례가 되어 비슷한 도시가 생길 수도 있으며, 사라질 수도 있게 될 것이다. 논이든, 밭이든 국가소유의 땅을 정부가 개발하여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분양하여, 이런 땅을 사서 자신의 취향과 가족구성원 등에게 맞는 주택을 짓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택지개발지역의 단독.. 2017. 8. 5.
마산 JS주택| 창원협소주택 | 2억원대로 마련한 협소주택 #리모델링 #주택설계 #리노베이션 #카페 #상가주택 #인테리어 #협소주택 ▶ '창원협소주택: 땅부터 집까지 2억원대로 마련한' 기사가 소개되었습니다. 아래의 사진과 내용은 메이크리메이크에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참고 및 인용 1.다음 홈&리빙 링크: http://media.daum.net/life/living/interior/newsview?newsId=20170213132050487 창원 협소주택 일상의 작은 행복을 되찾기 위해 내 집을 짓기로 하고 과감히 귀향을 결심한 건축가가 그 지난한 과정과 함께 공사비 내역을 전격 공개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서울에서 건축설계사무소를 다니 v.daum.net 2. 네이버 매거진캐스트 링크: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 2016. 11. 20.
마산 JS주택| 실내계단 치수의 현장확인 | 계단설계 #리모델링 #주택설계 #리노베이션 #카페 #상가주택 #인테리어 #계단설계 ▶실내계단 치수의 현장확인 설날을 보내며 현장을 방문하였다. 이제는 창호공사를 위한 실측과 외장공사를 진행할 것이며, 창호공사를 진행하면서, 실내에 잘못시공된 부분을 수정작업을 요청하였다. 콘크리트를 기계로 잘라내야 하는 부분도 있으며,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부분은 보강작업을 해야 할 것 같다. 공간적으로 의도한 바를 구현되도록 작업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였고, 가장 궁금한것중에 하나인 계단을 경험하고 온 것이 가장 큰 수확이다. 사실 매일가서 확인해야 하는 게 맞는데, 시간이 허락하지 않는다. 계단은 한단 크기를 200x260으로 하여 조금은 높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실제로 걸어 올라가보니 부담스럽지 않은 경사도였다. 완만하게 계획.. 2016. 2. 10.
주택 디자인| 휴먼스케일의 건물 볼륨감, 벽돌 재료의 사용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벽돌건물 ▶휴먼스케일의 건물 볼륨감, 벽돌 재료의 사용!! 스페인 바로셀로나에 주거지역에 지어진 주택, 이 건물은 세개의 동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특성에 맞게 동쪽방은 아이들 중간은 부엌과 거실 서쪽은 부모방과 같은 부모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각의 동 사이에 외부공간은 건물을 분절시켜, 거대한 느낌을 줄여, 다소 인간적 규모에 맞게 디자인되어졌고, 일반적으로 넓은창호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방크기에 맞게 적정하게 디자인되어 시원시원한 주택과 비교되게, 담백하게 느껴진다. 전체적으로는 면적이 크겠지만, 큰 규모에 비하면 아담한 공간감이 인간적 냄새가 난다. 외부에 '쉐이드'를 치는 것은 실내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치는 것보다 훨씬 에너지절약에 효과.. 2014. 2. 21.
about OFFICE MAKE.RE.MAKE | 메이크리메이크     [New] MAKE / [re] MAKE _건축설계, 신축,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인테리어), 디자인감리, 기획, 공간디자인   메이크리메이크는 마산을 기반으로 활동한다.지역을 기반으로 하며, 건축/공간/장소가 지닌 지역 도시의 잠재력과 오랜 시간 축적된 자연환경의 풍요로움과 고졸함으로 채워진 경남(창원)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땅과 사람을 잇는 건축의 속성을 이해하고, [New]MAKE와 [Re]MAKE의 과정으로 도시와 건축, 나아가 환경적인 지속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도시와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상 담   *위 링크 된 프로젝트 상담서>를 작성하시면 보다 정확한 상담을 받.. 2014.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