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성| 데이비드 치퍼필드와의 인터뷰 | 현시대건축 | 좋은도시 | 환경 #지속성은 환경 등의 분야로 한정하지 않는 여러가지 의미의 지속가능성을 소개합니다 #2023프리츠커상 #아모레퍼시픽본사 ▶ 데이비드 치퍼필드( David Chipperfield )와의 인터뷰 중 | 현시대의 건축 | 좋은 도시 | 환경을 생각하는 건축가 | 아모레퍼시픽 본사 데이비드 치퍼필드(David Chipperfield) 는 서울 용산에 위치한 아모레퍼시픽 본사 사옥을 설계한 세계적 건축가이다. 2023년 프리츠커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을 수상하며, 그의 진중하고 견고한 작업에 대해 인정받았다. 공공건축을 비롯한 다양한 건축유형의 작업을 지속하며 현대의 미니멀리즘 건축언어와 표현, 추상적 진술과 엄격하고 우아한 조형성 사이에 균형을 잡는 건축가이다. 그는 유튜브 채널 .. 2023. 11. 15. 주택 디자인| 드러나지 않는 큰 지붕과 두꺼운 벽 | 2021 |Merricks Farmhouse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 건물은 풍경을 경험하는 렌즈가 된다 | 시골 주택 | 큰 지붕과 두꺼운 벽 조용하고 고요한 시골에 위치한 주거지로 절제된 공간구성과 두꺼운 벽, 과장된 건축적 매스는 50 에이커에 달하는 넓은 대지 분포되어 있다. 밀폐된 공간 사이에 열린 공간들이 삽입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가 자연스럽게 외부와 시각적 접근과 빛과 바람이 드나드는 환경의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중앙에 위치한 안뜰은 집의 중심이되고 모든 공간을 연결하고 있다. 건물의 배치로 인해 자연적으로 발생된 풍경은 자연을 액자에 담아내는 듯한 프레임을 만들어 낸다. 풍부한 재료와 가구, 촉각적인 디테일을 통해 집의 친밀도와 마음의 넉넉함을 더해준다. 단순하고 매끈한 지붕은 기둥.. 2023. 11. 14. 공동주택| 외관의 품질과 경관의 질감 | 8 Loftus Street | 시드니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도시가로와 건물 파사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픈 공동주택 시드니의 유서깊은 도로와 잘 어우러진 8 Loftus Street는 보행자 중심의 거리풍경에 대한 친밀감 있는 디자인으로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공동주택이다. 이 공동주택의 다양한 복합건축물을 통해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데, 1~2층의 상가와 3~8층의 6개 층은 31개 가구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다세대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건물이다. 8 Loftus Street는 인접한 건물의 높이에 반응하는 건물의 선을 유지하고 동근모서리와 층별로 뒤로물러나는 모습으로 조각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재료의 대비와 반복적인 사용으로 도시의 수직 및 수평적인 요소와 함께 엮여 직물과 같은 외.. 2023. 11. 14. 주택 리모델링| 심플한 디자인의 시골주택 리노베이션 | 2020 | Rio House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포르투갈주택 #시골주택 ▶결과는 심플하지만 과정은 험난해 보이는 시골주택의 변신 | 물성의 대비 | 리노베이션 | 포르투갈 포르투갈 시골마을의 구옥을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로, 기존의 시골주택은 집주인의 사용에 의해 3개의 작은집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발견하여 디자인의 방향을 잡는다. 외부에서 보는 볼륨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건물의 중심에 슬라브를 도려내 중정을 내어 채광을 확보하고 공간들 간의 연결이 되도록 하였다. 1층은 거친 석재의 재료를 사용하여 기존의 분위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위층의 흰색마감의 벽과 강한 대비를 통해 물성의 변화를 인지하겠금하여 공간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1층과 2층 사이 콘크리트 슬라브 띠는 층을 가르는 또 하나.. 2023. 11. 10. 호텔| 하늘을 헤엄치는 기분이 드는 수영장 | 2023 | MYS Khaoyai Hotel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 독특한 수영장 구조와 녹지를 가득 담은 풀빌라(pool villa) | 대만호텔 | MYS Khaoyai Hotel 하루라는 단위의 온전한 경험을 위해 호텔은 독특한 아이디어를 추구한다. 호텔이 다양한 취향을 결합하여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콘서트, 페스티벌, 자연, 힐링 등이 호텔속으로 들어와 단 하루동안의 최고의 공간과 서비스를 위해 새로운 것과 차별화된 디자인이 범람하고 있다. 태국에 있는 MYS Khaoyai Hotel은 단지 배치에 있어 뒷쪽은 프라이빗한 전용수영장이 있는 6명정도의 투숙객을 수용하는 독채로 운영되고, 앞쪽은 커뮤니티 시설과 공용수영장이 배치되고, 2~3명의 투숙객을 수용하는 크기의 스위트룸, 트윈룸으로 .. 2023. 11. 9. 여가| 간월재 공룡능선 등산난이도 | 난 무섭더라 | 성공했을까? *여가 활동에 관한 기록 This is a record of leisure activities #캠핑 #백패킹 #자전거라이딩 #등산 ▶간월재 억새를 보기 위해 멋모르고 공룡능선에 올랐으나 | 신불산 | 억새 | 대중교통 간월재의 억새를 보기 위해 아침 일찍부터 나섰다. 대중교통으로 가야 할 상황이라서 여러 가지 경로를 따져가며 등산 후 하산시간을 예측하고 버스에 올랐다. 사실 겨울로 넘어가는 가을비가 오기 전에 억새를 꼭 보겠다는 다짐이 있었다. 창녕 황매산은 다녀왔으니 가까운 간월재를 가보려 했는데, 간월재는 생각보다 대중교통편이 편하지 않았다. 영남알프스에 속해 있고 억새 공원이 연결되어 있는 간월재와 신불산, 영축산은 행정구역상 울산시 울주군과 경남 밀양시, 양산시에 속해 있어 다양한 등산로로 오를.. 2023. 11. 4. 주택디자인| 자연이 관통하는 중정형 집 | 2019 | Sky House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중정주택 #대도시주택 ▶녹지를 품고 자연의 모습을 구석구석 담아낸 중정형 집 자연의 요소가 집안 구석구석에 삽입되고, 전달되도록 공간 사이사이 연결을 만들어낸다. 주변의 관계보다 내면적 공간과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만들어졌다. 외부에서 보여지는 모습은 다양한 식물의 모습이 보여지고, 이러한 모습은 도시에 시각적 녹지의 모습을 제공하기보다는 내부에 여러 녹지의 모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결과적 모습으로 파악된다. 내부는 가운데 중정을 통해 외부의 모습이 내부로 관통하여 집안 구석구석 다양한 크기의 격자모습의 창, 바닥, 천장 등이 자연의 흐름을 만들어 낸다. 주변은 밀도높은 도심의 모습을 하고 있어 전망을 활용하기 보다 내부중심적.. 2023. 10. 30. 주택 인테리어| 고양이를 위한 인간집 | 2022 | Boko House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반려묘 #고양이 #집사의 인테리어 ▶고양이와 동거를 위한 집사의 집 | 아파트 인테리어 | 고양이 놀이터 | 반려묘 인간과 고양이 모두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집으로 인간부부와 고양이 두 마리가 공존하는 아파트 인테리어에 대한 내용이다. 65㎡(20평)크기의 일반적인 아파트이며, 고양이의 관점에서 집을 디자인하였다. 고양이의 생활방식과 습관, 안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선반, 주방, 세면대 아래는 350mm 정도 공간을 두어 인간에게는 칸막이가 되지만, 고양이에게는 숨을 장소이자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로봇청소기의 동선에 방해되지 않아 바닥에 흩날리는 고양이 털을 계속 청소해 줄 수 있으며 집의 환기에도.. 2023. 10. 27. 답사| 진주카페 '로스팅웨어' 야외수업과 카페답사 | 단순한형태와 다양한 재료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건축답사 #로스팅웨어 #카페 ▶카페 '로스팅웨어'에서 하는 현장학습과 카페답사 | 진주카페 | 진주역 진주역 근처에 위치한 카페 겸 커피팩토리로 기본에 충실한 담백한 커피를 지향하는 곳이다. 날씨 좋은 10월 중순의 가을 전국적으로 축제가 넘쳐나는 날 답답한 교실을 벗어나 커피 한잔과 답답한 마음을 달래줄 곳을 찾았다. 혼자가는 답사는 작은것 하나도 자세하게 보게되고, 사소한것에도 오랜 시간을 두고 살펴보게되는 좋은점이 있다. 같이 가면 이야기할 벗이 있다는 것도 좋다. 이 건물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관계자들은 어떤 디자인 결정을 하였을까? 먼저, 학생들에게 3개의 팀을 나눠서 팀별로 건물외관팀, 건물내부팀, 외부공간팀으로 나눠서 사진을 찍어달라고 요.. 2023. 10. 22. 여가| 적석산의 길고 깊은 가을밤 | 백패킹과 등산의 운동기록 *여가 활동에 관한 기록 This is a record of leisure activities #캠핑 #백패킹 #자전거라이딩 #등산 ▶적석산(497m)의 길고 깊은 가을밤 | 고요함과 선명함 | 백패킹 | 운동기록 | 등산 버스에 내리면 어느 시골이나 마찬가지 듯 동네 슈퍼마켓이 버스정류소의 역할을 하고 표도 끊어주고 그런다. 요즘은 대부분 교통 카드로도 시외버스에 오를 수 있어, 표를 끊어야 하는 경우가 적긴 하지만 말이다. 시골슈퍼의 영업일지 '어쩌다 사장'에서 차태현과 조인성은 10일간의 슈퍼마켓 사장이 되면서 기존 사장님에게 휴가를 드리며, 영업을 시작한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강원도 화천의 한 슈퍼이면서 지역을 연결하는 정류소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장면이 생각나 한컷 찍어 본다. 10월 추수의.. 2023. 10. 22. 회복센터| 암환자의 회복을 위한 센터 | 2011 | REHABILITATION CENTER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암센터 #회복센터 #병원건축 ▶암센터 | 환자 회복에 중점을 둔 병원디자인 | 치료 보다 치유 그리고 회복 암치료 후 회복과 후속진료를 위한 병원이자 의료센터이다. 연구에 따르면 건축은 사람의 질병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휴먼스케일과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는 사람들이 나아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병원은 편안하지 않다. 병원이 시설화하는 과정에서 기능 간의 이동이 용이한 환경을 넘어서 탈시설화를 시도하는 의료환경이 조성된 치유와 회복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겠다. 여러 개의 작은 집이 하나의 결합된 형태로 된 센터는 개인의 안락한 규모(스케일)와 편안한 라운지, 명상공간, 안뜰, 물리.. 2023. 10. 18. 콘크리트| 거푸집의 종류와 거푸집 널을 활용한 노출콘크리트 사례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창원건축 #부산경남 #거푸집 #콘크리트 표면 ▶거푸집의 종류와 콘크리트 표면처리에 따른 외관사례 | 콘크리트의 집 | 거푸집 거푸집은 일종의 틀로 콘크리트를 설계한 모양과 크기를 맞게 타설 할 수 있게 한다. 공사가 끝나면 철거하는 임시설치물이지만 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를 결정하기 때문에 공사에서 가장 공을 들이는 부분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와 만나는 직접 만나는 거푸집 널과 거푸집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속품으로 구성된다. 널은 재질에 따라 금속과 목재가 있다. 금속 거푸집은 목재보다 변형이 적고 반복해서 쓸 수 있지만 열전도율이 높아 여름과 겨울에는 쓰지 않는다. 반면 목재 거푸집은 가공이 편하고 누수가 적어 많이 사용되는 재래식 거푸집으로 열전도율이 낮아 겨울철 공사에.. 2023. 10. 17. 시멘트블럭| 블럭을 이용한 수직정원 담장만들기 | 벽면녹화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담장디자인 #수직정원 #블럭 ▶블럭을 이용한 수직정원 및 담장디자인 | 벽면녹화 담장은 집의 영역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경계를 표시하고 외부로부터의 시선과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하며 사생활 보호가 가능해진다. 담장의 방식으로는 철재 휀스, 합성목재, 벽돌, 블럭, 개비온, 생울타리와 같은 것으로 주로 설치된다. 담장의 기능성에 디자인이 더해져 집의 완성도를 높여준다. 그중에 담장을 활용해 수직정원을 조성하는 사례들을 몇몇 볼 수 있다. BLOCASA사에서 만든 수직정원블럭으로 만들어진 담장을 살펴본다. 일반적인 시멘트블럭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된 면을 곡면으로 처리한 이형블럭 형식이다. 이 블럭은 14x19x39cm의.. 2023. 10. 16. 사옥 디자인| 환경친화적인 디자인 접근과 프로그램으로 채워진 방문자센터 | 2022 | Rapunzel Visitor Centre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사옥디자인 #친환경디자인 ▶환경친화적인 디자인접근과 친환경 교육프로그램으로 채워진 조각 같은 건물 Rapunzel 방문자센터는 "우리는 사랑으로 유기농을 만듭니다."라는 내용을 방문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목재, 점토, 천연재료와 재생가능한 건축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바닥 단열재로는 스티로폼 대신 재활용 발포 유리자갈을 사용하고, 색상 및 재료코팅을 위해서 광물을 사용하는 등 생태학적으로 고려된 건물이라고 소개한다. 방사형으로 펼쳐진 배치형태를 가지고 중심의 나선형 계단은 수직적인 연결동선이면서 공간전체를 탐험할 수 있도록 개방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옥상테라스까지 모든 층을 연결하여 전망을 제공한다. 방문객은 재배->공정무역->생산.. 2023. 10. 12. 김해BT주택R| 40년된 구옥을 활용하기 위한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창원건축 #부산경남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구옥 ▶ 1980년대에 지어진 벽돌식 건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주택 리노베이션 작업 BT주택은 1980년대에 지어진 연와조(벽돌로 쌓았다는 의미)구조와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로 구축된 2층 단독주택이다. 건축물대장에 기입된 사항으로는 1층으로 주택을 신축하고 몇개월 후 바로 2층을 증축한 이력이 있다. 1층 외벽은 벽돌마감이며, 2층 외벽은 벽돌모듈의 타일마감인데, 2층 외벽이 벽돌마감을 하기 힘든 구조적 환경이 있었던 것으로 유추된다. 그래서 타일로 마감하며, 최대한 1층과 2층이 이질적이지 않게 보이게 하려고 애쓴 것 같다. 그리고 전면만 마감이 되어 있고, 그외 측면과 배면은 미장 후 도장(페인트)을 하여 도로면으로 노출된 건물의 .. 2023. 10. 10. 석재| 석재(돌)의 표면마감 처리 및 가공법의 종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창원건축 #부산경남 #석재마감 #돌가공 #질감 ▶석재(돌)의 표면마감 처리 및 가공법의 종류 석재업체는 크게 생산->유통->가공->시공 네 가지로 나눈다. 생산은 석산에서 암석을 채석해 원석이나 20~30mm의 얇은 두께로 잘라 원판으로 만드는 1차 생산을 뜻한다. 이를 규격에 맞게 재단하고 표면을 마감해 제품으로 완성하는 2차 생산을 가공이라고 한다. 석재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게 되면서 생산보다는 유통과 시공업체의 비중이 높아졌다. 다른 건축재료와의 차이점이라면 같은 석재라도 표면을 어떻게 마감처리하느냐에 따라 색감과 질감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표면 처리, 재단 등의 가공 공정 또한 중요하다. 대부분의 유통업체는 기본적으로 가공도 같이하거나 원석을 수입하여 직접 .. 2023. 10. 6. 주택 디자인| 여러 개의 바닥레벨을 가진 단층주택 | House in Ginowan| 2019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여러 개의 바닥레벨을 가진 단층주택, 개방된 공간 대지 동서방향으로 6m의 높이 차이를 5개의 층으로 구성된 단층주택으로 계획하였다. 건물이 경사진 곳에 자리 잡고 있어 전면도로를 따라 위층과 중앙의 거실, 아래의 자녀방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단층집이다. 개방적이고 서로 접근이 용이한 공간구성을 얻었다. 강렬한 컬러콘크리트 외관은 붉은색 흙을 언 정상에 끌어올린 것 같은 토속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다층보다는 단층으로 구성되어야 했기에 넓게 건축면적을 많이 가져가야 했다. 한 층이 넓어지면 자연스럽게 중정이 생기는 평면으로 계획된다. 넓게 펼쳐진 단층집에는 다섯 군에 정도 되는 틈과 같은 중정을 만들어 실내공간에 다양한 빛을 받아들이.. 2023. 10. 4. 동네| 임항선 그린웨이와 만나는 대화탕 @성호동, 1983 동네는 창원의 도시풍경을 담은 사진첩이며, 작게는 건축물의 재료,디테일,형태 등과 크게는 도시의 경관과 색을 탐구합니다 임항선 그린웨이(폐선로 산책로)와 창원 푸르지오 더 플래티넘아파트 사이에 위치한 대화온천탕, 3층의 벽돌마감의 주택과 아래층 알미늄 판넬로 외장마감한 목욕탕으로 구분된 복합건물이다. 목욕탕의 기능이 많이 상쇄된 지금의 시대에 교차로에 위치한 옛 목욕탕은 장소적인 상징성이 있다. 지하1층~지상3층으로 이루어진 근생과 주택 복합 건물, 대화탕 @성호동, 1983 *MAKE.RE.MAKE는 다양성과 지속가능성,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집니다 _ instagram @makeremake_official : 포트폴리오 @project. 055 : 마산(창원, 진해)의 도시재생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 2023. 10. 4. 여가| 우연하게 보게 된 동해의 해돋이 모습 | 송대말 등대 | 감포항 *여가 활동에 관한 기록 This is a record of leisure activities #캠핑 #백패킹 #자전거라이딩 #등산 ▶송대말 등대에서 맞이하는 10월의 일출장면 | 감포마을, 감포항 동해 해안도로는 길의 모든 곳이 일출명소이자 해돋이 관광명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끝없이 펼쳐진 시원한 동해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이번 일출은 감포항 송대말등대에서 보기로 결심했다. 해돋이를 생각하고 온 것은 아니지만, 운동 삼아 새벽 이른 시간 일출시간을 확인하고, 해뜨기 전 어둑어둑한 시간에 숙소를 나섰다. 아침 6시 17분 일출시간이었다. 1 일출장면 새벽 조업활동을 하는 어선과 낚시꾼들 그리고 바닷바람과 바람을 타고 날으는 새, 잔잔하게 일렁이는 파도 등 새벽 05시 50분부터 일출까지 3.. 2023. 10. 3. Vol.9(장군동1호집)_공유숙박이 ‘동네 여행’이라는 새로운 트렌드로 만날때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창원건축 #부산경남 #단기임대 #동네여행 ▶ 공유숙박이 동네여행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여행 트렌드, 홈스테이!!! 마산의 합포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로 이어져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역동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바다와 산으로 둘러싸인 항만도시로 폐철로를 이용한 산책로와 항만 매립지를 시민에게 개방한 수변공원, 치밀한 계획 없이 만들어진 도시계획으로 갑작스럽게 팽창한 도시의 분위기는 혼란과 무질서 그리고 안정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묘한 동네이다. 그리고 그 중간에 장군동주택은 협소주택이라는 특수성을 갖추고 있다. 동네여행에 적합한 곳이며, 새로운 주거유형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공유숙박은 동네여행이라는 새로운 여행의 트렌드라는 점과 취향에 따른 소비욕.. 2023. 9. 27. 공동주택| 산업도시에 남겨진 건물을 청년주택으로 리노베이션 | Yantai Chunhui Road Port Apartment | 2019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리노베이션 #청년주거 ▶산업도시에 남겨진 건물을 리노베이션하여 청년들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 | 공동주택 낙후된 산업도시의 빈 건물을 리노베이션하여 젊음이를 위한 공유공간이자 생활공동체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도로에 면해 있는 건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건물과 환경이 바뀌어 건물의 정면을 바꿀 필요가 생겼다. 북측에서 동측으로 바꾸며 건물의 정면성을 바꾸고, 중정과 옥상을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건물의 동선과 용도가 바뀌면서 계단이 신설되고, 재료가 바뀌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1층 동측에서는 리셉션, 도서관, 당구장, 라운지, 자유석 등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계획과 중정과 연결되도록 하여 공용공간의 영역을 최대한 확보하였.. 2023. 9. 27. 사옥 디자인| 원의 형태와 질서를 가진 웰컴 센터 | Fazer Visitor Center | 2016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핀란드 Fazer(파체르)기업을 홍보하는 방문자센터, 웰컴센터 | 원으로 된 건물 크기가 다른 두개의 원은 기존 공장건물과 바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웰컴센터이자 방문자센터이다. 주변의 녹지로 둘러쌓여진 특징을 건물에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원의 형태를 착안하여 건물에서 외부의 공간을 파노라마 뷰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였다. 원의 공간 속에는 원이라는 도형이가진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동적인 운동감과 정적인 안정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심리학자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 곡선은 뇌 전두대피질 (Anterior Cingulate Cortex) 영역에서 많은 활동이 측정된다. 직선보다 비교적 정서적으로 친근하고 따듯하며, 부드.. 2023. 9. 27. 하자방지| 평지붕에서 생기는 누수 원인을 이해하고 개선하자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창원건축 #부산경남 #방수 #옥상평지붕 ▶ 옥상 평지붕에 시공하는 방수 방법과 개선사항 옥상 및 외기에 시공한 우레탄 방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수층에 파손되어 균열이 생겨 하부층의 천장면에 누수가 발생한다. 외기에 설치한 우레탄 방수는 자외선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그 수명이 극히 짧다. 어떤 방수방식이든, 방수 시공하는 위치든 상관없이 방수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물흐름에 맞는 구배 모서리 직각 시공 금지 수증기의 증발을 고려한 조치 방수상수 외단열공법(=역전지붕) 1 구배 (물흐름에 맞는 구배) 물은 고여 있으면 안된다. 구배만 확실하면 거의 모든 방수층은 안전하다고 볼 수도 있다. 경사가 급격한 경사지붕의 경우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하절기와 동절기의 .. 2023. 9. 26. 유치원 디자인| 자연과 건물이 경계가 없는 학교 | 2023 | Lovell International School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자연과 건물이 하나 되는 편안한 집과 같은 유치원 부지에 있는 기존의 나무를 최대한 유지하는 배치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나무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려고 하고 있다. 트리하우스 콘셉트로 숲 속에 작은집으로 디자인되어 공원과 자연의 선형과 어울리는 곡선과 기존 나무를 피해 다양한 코트(COURT)를 제공하는 건축방식을 택했다. 교실마다 야외학습공간이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식생이 건물과 공존하는 방식으로 학습에 큰 영향을 주는 특색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 있다. 외장으로 목재마감을 선택해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박공지붕의 형태는 놀이공간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스케일이 맞게 구성된다. 학교가는 길이 즐거운 어린이의 모습이 상상된다. Te.. 2023. 9. 26. 주택 디자인| 곡면과 재료가 빛을 만나 만들어진 감각적인 주택 | 2015 | IRELAND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곡면과 반사되는 재료가 서향 빛을 만나 입체적 공간이 되다 남쪽과 동쪽이 가진 전망과 채광의 제약으로 인해 북쪽과 서쪽이 가진 특징으로 디자인이 되었다. 북쪽의 전망과 서쪽의 태양빛을 집으로 끌여들였다. 그리고 끌어들인 빛이 곡면과 반사되는 재료를 사용으로 인해 내부공간적 깊이가 감각체험으로 이여져 보인다. 공간의 인상이 평면적이지 않고 입체적인 관계를 지각하게 되는 현상학적인 접근처럼 보이기도 한다. Text description provided by the architects. The site of this house is located to the rear of an existing period house facing onto .. 2023. 9. 25. 단열재| 단열을 위해 어떤 단열재를 사용할까? #단열재 #무기질단열재 #유기질단열재 ▶단열은 목적과 용도, 부위에 맞게 | 단열재(무기질과 유기질)의 종류 단열은 열에너지의 흐름을 막아 외기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열에너지는 복사, 대류, 전도로 전달된다. 벽체를 두껍게 만들어 전도로 인한 열을 막을 수도 있고, 공기와 같은 기체를 구조체와 마감재 사이에 두어 열의 흐름을 지연할 수도 있다. 복사열을 차단해 구조체 안쪽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방법도 있다. 다양한 단열재가 시중에 개발 및 유통이 되고 있다. 목적과 용도, 부위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단열재는 크게 무기질 단열재와 유기질 단열재로 나눈다. 단열성능에 따른 등급은 가등급에서 라등급으로 분류한다. 등급이 올라갈수록 단열성능이 좋다.(가>나>다>라 등급) 단열재는 물에 .. 2023. 9. 22. 주택 디자인| 이상한 형태의 대지를 극복하는 협소주택 | 2022 | House in Okamoto #협소주택 #이상한땅 #일본주택 ▶가늘고 긴 삼각형 대지를 극복한 협소주택 | 17평 주택 가늘고 긴 삼각형의 대지를 극복한 협소주택으로 부부와 두 자녀가 사는 4인가구 집 외벽이 켜켜이 배치되어 시선과 바람이 도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삼각형의 좁은 모퉁이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전체적인 건물조형과 어울리게 벽면을 활용하였다. 협소주택에 작은 창을 켜켜이 배치하는 집은 공간이 어두울 수가 없고, 밝은 실내공간은 협소주택의 물리적 한계를 심리적인 공간확장으로 극복하고 있다. 1층은 주변건물과 거리가 가까워서 자는 공간위주로 배치하고, 2층은 가족이 함께 지내는 거실과 주방, 다다미방이 주를 이루고 있다.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위해 가족공간을 더 중요시하게 생각한 듯 한 배치이며, 좀 특이하게.. 2023. 9. 22. 책| 집중 못하는 현대인들 | 도둑맞은 집중력 | 문해력 회복 #집중력회복을 위한 노력 #문해력의 실종 ▶도둑맞은 집중력, 집중력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 작금의 시대에 우리는 산만함에서 도망가려고 하지만, 실제로 도망갈 곳이 없다. 당신의 집중력을 망가트릴 수 있는 요소들이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고, 어디에나 있기 때문이다. 나와 너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사는 방식의 문제이다. 하루를 되돌아보게 되는 책이다. 1 집중력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 충분한 수면 잠을 줄이면 우리 몸은 위기로 해석한다. 위기상황에 대비해서 우리의 몸은 혈압상승, 패스트푸드가 먹고 싶다든지, 당을 빠르게 보충하기 위한 생리적 현상이 일어난다. 수면부족은 기억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수면시간에는 그날의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옮기기 시작하지 수면이 부족한 날에는 이런 작용이 적게 발생한다. .. 2023. 9. 21. 좋은집| 건강이 중요해진 미래의 집(Healthy Home) | IKEA #미래의 건강한 집 #이케아 #IKEA SPACE10 ▶내일의 집을 가꾸다 | 미래의 건강한 집(Healthy Home) | IKEA 집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장소이다. 우리가 쉬고 놀고먹고 자고 배우고 식사하는 등 삶의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하고 사회화를 배우는 곳이다. 하지만 집이 우리 삶에서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신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대의 집은 그 역할과 의미가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이전에는 없던 사회문제가 등장하면서 집의 재정의할 필요성이 생겼다. 특히 최근에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는 기후변화, 출산율저하, 고령 인구 증가, 관계의 단절, 의료비 급증 등은 우리 건강한 삶을 위협하고 있다. 가까운 예로 기후변화로 가정의 냉, 난방비가 급등하고 산불과 .. 2023. 9. 20. 주택 디자인| 아치형의 주택공간 | 2019 | North Perth House #오늘의 PICK #건축설계 #리노베이션 #리모델링 # 아치형주택 #단순함과 다양성 ▶단순한 디자인요소와 다양한 공간연출이 가능한 아치형주택 디자인의 단순성으로 만들어진 결과의 공간은 복잡하고 우연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단순한 두가지 유형의 아치는 집의 다양한 움직임과 조망을 제공한다. 1층의 아치와 2층의 아치가 직교방향으로 교차하고 1층은 보행을 위한 아치가 대지너비로 가득차도록 되고, 2층은 아치는 1층과 직교방향으로배치되어 인접집과의 프라이버스를 보호하고 있다. 아치의 형태는 오프닝과 목재, 폴리카보네이트로 나눠져 집의 공간감을 더해주고 있다. 창의크기, 계단난간 디테일, 서재가구, 주방가구 모두가 일관된 디자인으로 집을 설명하고 있다. Text description provided by t.. 2023. 9. 20.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