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디자인| 여러 개의 바닥레벨을 가진 단층주택 | House in Ginowan| 2019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여러 개의 바닥레벨을 가진 단층주택, 개방된 공간 대지 동서방향으로 6m의 높이 차이를 5개의 층으로 구성된 단층주택으로 계획하였다. 건물이 경사진 곳에 자리 잡고 있어 전면도로를 따라 위층과 중앙의 거실, 아래의 자녀방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단층집이다. 개방적이고 서로 접근이 용이한 공간구성을 얻었다. 강렬한 컬러콘크리트 외관은 붉은색 흙을 언 정상에 끌어올린 것 같은 토속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다층보다는 단층으로 구성되어야 했기에 넓게 건축면적을 많이 가져가야 했다. 한 층이 넓어지면 자연스럽게 중정이 생기는 평면으로 계획된다. 넓게 펼쳐진 단층집에는 다섯 군에 정도 되는 틈과 같은 중정을 만들어 실내공간에 다양한 빛을 받아들이.. 2023. 10. 4. 공동주택| 산업도시에 남겨진 건물을 청년주택으로 리노베이션 | Yantai Chunhui Road Port Apartment | 2019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리노베이션 #청년주거 ▶산업도시에 남겨진 건물을 리노베이션하여 청년들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 | 공동주택 낙후된 산업도시의 빈 건물을 리노베이션하여 젊음이를 위한 공유공간이자 생활공동체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도로에 면해 있는 건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건물과 환경이 바뀌어 건물의 정면을 바꿀 필요가 생겼다. 북측에서 동측으로 바꾸며 건물의 정면성을 바꾸고, 중정과 옥상을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건물의 동선과 용도가 바뀌면서 계단이 신설되고, 재료가 바뀌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1층 동측에서는 리셉션, 도서관, 당구장, 라운지, 자유석 등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계획과 중정과 연결되도록 하여 공용공간의 영역을 최대한 확보하였.. 2023. 9. 27. 사옥 디자인| 원의 형태와 질서를 가진 웰컴 센터 | Fazer Visitor Center | 2016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핀란드 Fazer(파체르)기업을 홍보하는 방문자센터, 웰컴센터 | 원으로 된 건물 크기가 다른 두개의 원은 기존 공장건물과 바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웰컴센터이자 방문자센터이다. 주변의 녹지로 둘러쌓여진 특징을 건물에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원의 형태를 착안하여 건물에서 외부의 공간을 파노라마 뷰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였다. 원의 공간 속에는 원이라는 도형이가진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동적인 운동감과 정적인 안정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심리학자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 곡선은 뇌 전두대피질 (Anterior Cingulate Cortex) 영역에서 많은 활동이 측정된다. 직선보다 비교적 정서적으로 친근하고 따듯하며, 부드.. 2023. 9. 27. 하자방지| 평지붕에서 생기는 누수 원인을 이해하고 개선하자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창원건축 #부산경남 #방수 #옥상평지붕 ▶ 옥상 평지붕에 시공하는 방수 방법과 개선사항 옥상 및 외기에 시공한 우레탄 방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수층에 파손되어 균열이 생겨 하부층의 천장면에 누수가 발생한다. 외기에 설치한 우레탄 방수는 자외선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그 수명이 극히 짧다. 어떤 방수방식이든, 방수 시공하는 위치든 상관없이 방수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물흐름에 맞는 구배 모서리 직각 시공 금지 수증기의 증발을 고려한 조치 방수상수 외단열공법(=역전지붕) 1 구배 (물흐름에 맞는 구배) 물은 고여 있으면 안된다. 구배만 확실하면 거의 모든 방수층은 안전하다고 볼 수도 있다. 경사가 급격한 경사지붕의 경우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하절기와 동절기의 .. 2023. 9. 26. 유치원 디자인| 자연과 건물이 경계가 없는 학교 | 2023 | Lovell International School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자연과 건물이 하나 되는 편안한 집과 같은 유치원 부지에 있는 기존의 나무를 최대한 유지하는 배치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나무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려고 하고 있다. 트리하우스 콘셉트로 숲 속에 작은집으로 디자인되어 공원과 자연의 선형과 어울리는 곡선과 기존 나무를 피해 다양한 코트(COURT)를 제공하는 건축방식을 택했다. 교실마다 야외학습공간이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식생이 건물과 공존하는 방식으로 학습에 큰 영향을 주는 특색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 있다. 외장으로 목재마감을 선택해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박공지붕의 형태는 놀이공간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스케일이 맞게 구성된다. 학교가는 길이 즐거운 어린이의 모습이 상상된다. Te.. 2023. 9. 26. 주택 디자인| 곡면과 재료가 빛을 만나 만들어진 감각적인 주택 | 2015 | IRELAND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곡면과 반사되는 재료가 서향 빛을 만나 입체적 공간이 되다 남쪽과 동쪽이 가진 전망과 채광의 제약으로 인해 북쪽과 서쪽이 가진 특징으로 디자인이 되었다. 북쪽의 전망과 서쪽의 태양빛을 집으로 끌여들였다. 그리고 끌어들인 빛이 곡면과 반사되는 재료를 사용으로 인해 내부공간적 깊이가 감각체험으로 이여져 보인다. 공간의 인상이 평면적이지 않고 입체적인 관계를 지각하게 되는 현상학적인 접근처럼 보이기도 한다. Text description provided by the architects. The site of this house is located to the rear of an existing period house facing onto .. 2023. 9. 25. 단열재| 단열을 위해 어떤 단열재를 사용할까? #단열재 #무기질단열재 #유기질단열재 ▶단열은 목적과 용도, 부위에 맞게 | 단열재(무기질과 유기질)의 종류 단열은 열에너지의 흐름을 막아 외기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열에너지는 복사, 대류, 전도로 전달된다. 벽체를 두껍게 만들어 전도로 인한 열을 막을 수도 있고, 공기와 같은 기체를 구조체와 마감재 사이에 두어 열의 흐름을 지연할 수도 있다. 복사열을 차단해 구조체 안쪽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방법도 있다. 다양한 단열재가 시중에 개발 및 유통이 되고 있다. 목적과 용도, 부위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단열재는 크게 무기질 단열재와 유기질 단열재로 나눈다. 단열성능에 따른 등급은 가등급에서 라등급으로 분류한다. 등급이 올라갈수록 단열성능이 좋다.(가>나>다>라 등급) 단열재는 물에 .. 2023. 9. 22. 주택 디자인| 이상한 형태의 대지를 극복하는 협소주택 | 2022 | House in Okamoto #협소주택 #이상한땅 #일본주택 ▶가늘고 긴 삼각형 대지를 극복한 협소주택 | 17평 주택 가늘고 긴 삼각형의 대지를 극복한 협소주택으로 부부와 두 자녀가 사는 4인가구 집 외벽이 켜켜이 배치되어 시선과 바람이 도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삼각형의 좁은 모퉁이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전체적인 건물조형과 어울리게 벽면을 활용하였다. 협소주택에 작은 창을 켜켜이 배치하는 집은 공간이 어두울 수가 없고, 밝은 실내공간은 협소주택의 물리적 한계를 심리적인 공간확장으로 극복하고 있다. 1층은 주변건물과 거리가 가까워서 자는 공간위주로 배치하고, 2층은 가족이 함께 지내는 거실과 주방, 다다미방이 주를 이루고 있다.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위해 가족공간을 더 중요시하게 생각한 듯 한 배치이며, 좀 특이하게.. 2023. 9. 22. 주택 디자인| 아치형의 주택공간 | 2019 | North Perth House #오늘의 PICK #건축설계 #리노베이션 #리모델링 # 아치형주택 #단순함과 다양성 ▶단순한 디자인요소와 다양한 공간연출이 가능한 아치형주택 디자인의 단순성으로 만들어진 결과의 공간은 복잡하고 우연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단순한 두가지 유형의 아치는 집의 다양한 움직임과 조망을 제공한다. 1층의 아치와 2층의 아치가 직교방향으로 교차하고 1층은 보행을 위한 아치가 대지너비로 가득차도록 되고, 2층은 아치는 1층과 직교방향으로배치되어 인접집과의 프라이버스를 보호하고 있다. 아치의 형태는 오프닝과 목재, 폴리카보네이트로 나눠져 집의 공간감을 더해주고 있다. 창의크기, 계단난간 디테일, 서재가구, 주방가구 모두가 일관된 디자인으로 집을 설명하고 있다. Text description provided by t.. 2023. 9. 20. Glass| 유리의 종류 | 강도를 높인 유리와 에너지 성능을 높인 유리 #유리의 종류 #기능성유리 #복층유리 #로이유리 ▶강도를 높인 유리와 에너지 성능을 높인 유리의 특징 알아보기 | 에너지절약 계획설계에 필요한 창호의 스펙(SPEC.) 유리는 모두 같은 원판(유리)에서 시작하지만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성능과 용도가 달라진다. 건축물에서는 원판보다 코팅하거나 판유리를 붙이는 식으로 가공한 제품이 더 많이 사용되고 각 성능에 따라 어떤 유리가 있는지 알아보자. 1. 강도를 높여 파손의 위험을 줄인 유리(강화유리/접합유리) 2. 단열성능을 높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유리(로이유리/복층유리) 1. 강도를 높여 파손의 위험을 줄인 유리(강화유리/접합유리)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700~800℃로 가열하여 급랭해서 만든다. 그 과정에서 표면과 중심부에 온도차이가 나타나면서 압축력을 견.. 2023. 9. 15. 학교 디자인| 미래 학교로 나아가는 공간구성 | Learning Hub | 2016 #오늘의pick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인테리어 #학교디자인 #공간혁신 #미래학교 #러닝허브 ▶개인의 배움 차이는 다양한 학습공간을 조성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 러닝허브 | 러닝센터 | 커먼스공간 | 라운지 학교는 배움을 위한 모든 활동을 위해 유연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건물에 들어서기 전에 넓은 필로티와 같은 지붕이 덮여 있는 외부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비를 피하는 공간이면서, 외부에서 활동이 가능하다. 기둥에 의해 활동이 침해받지 않도록 충분한 경간을 가지고 있으며, 유선형의 곡선으로 구성된 계단식 공간은 만남과 대화, 소통, 잡담, 휴식, 낮잠 등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공간이면서 외부이기 때문에 답답하지 않다. 이 공간이 1층 진입을 하면 1~2층이 개방된 복층형의 라운지를 만나게 된다. 외부.. 2023. 9. 12. 사무실 인테리어| 펀칭 메탈과 곡면벽을 이용한 인테리어 | 2017 #오늘의pick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인테리어 #사무실 ▶펀칭메탈의 반투시적 효과와 끝없이 연속되는 곡면벽를 이용한 사무실 레이아웃 사무실의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위해 곡면의 연속적인 긴 벽체가 외벽면 측과 실내측으로 반복되면서 개방적이면서도 독립성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이 조성되었다. 펀칭메달패널을 투시가 가능한 재료적 특징으로 답답하지 않고 소통이 가능하도록 재료를 활용하였다. 내측과 외측의 경계를 다소 흐리게 하며 유연한 공간을 만들었다. 그리고 실내의 어두움을 펀칭메탈의 투시성과 반사가 되는 바닥 에폭시재료를 사용하여 어느정도의 채광을 해결하였다. 바닥과 천장을 어두운 색으로 설정하고 흰색의 펀칭메탈패널(punching metal panel)을 사용하여 벽공간의 영역이 강조되면서 끝없이 연.. 2023. 9. 8. 사무실 디자인| 대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건축 솔루션 | RATP Habitat Headquarters | 2021 #오늘의pick #사옥설계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사무실 #오픈플랜 #파티오 #목재-콘크리트 혼합 ▶ 계단식 넓은 테라스, 오픈플랜방식, 목재-콘크리트 혼합구조, 파티오와 아뜨리움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대지의 한계를 극복한 사무실 디자인 | RATP Habitat Headquarters 밀집된 도시블럭 가운데 자리잡고 있으며, 건물의 아래부분(남쪽)은 종합병원부지의 주차장으로 건물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건물의 윗부분(북쪽)은 기존 3층 건물과 맞벽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1층 평면도에서 남과북쪽은 막혀 있으며 서쪽(좌측)에서 주진입을 하며 동쪽(우측)은 부출입으로 되어 있다. 서측 1층 공용공간으로 접근으로 방문객 리셉션과 카페, 아고라 등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북측 맞벽으로 된 부분은 화장실과 .. 2023. 9. 5. 유치원 디자인| 레고와 같은 구성으로 된 벽돌집 유치원 | 2016 #오늘의pick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유치원디자인 ▶레고 처럼 쌓아지는 벽돌집 유치원 | 호기심과 움직임 | 유치원 디자인 각 층의 수직적인 상호작용을 강화하도록 공간적 동선적 관계를 엮어내고 있다. 교실은 차분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며 유치원 공간의 대부분은 움직임으로 가득차 있다. 1층 외부정원에서 연속적으로 건물의 상층부로 연결하며 다양한 풍경을 제공한다. 레고처럼 쌓여지는 건물의 모양과 박공형태의 개구부는 유치원의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며, 이동하는 곡선형의 내외부 계단은 아이들의 활기찬 움직임과 공간의 재미를 담아내고 있다.Text description provided by the architects. The Chuon Chuon Kim 2 Kindergarten project was i.. 2023. 9. 1. 호텔| 라운지가 인상적인 소라노호텔 | Sorano Hotel | 2020 #오늘의pick #호텔 #스테이 #리조트 #라운지 ▶자연 속 여행을 연상케하는 라운지가 인상적인 호텔 도쿄 신주쿠에서 30분 거리에 있는 다 치카와시에 있는 신도기개발의 주요시설 중 하나이다. 호텔은 '웰빙(Wellbeing)'을 컨셉으로 건강을 생각하는 활동을 제공하는 '웰빙 단기 여행'이라는 새로운 휴가 스타일을 제안합니다. 호텔 로비는 입구와 로비를 연결하는 텐트형태의 디자인으로 인해 자연속 여행을 연상케 한다. 로비는 외부정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루버형식의 텐트형태는 선형의 루버로 조성되어 가벼운 분위기로 디자인되어 있고, 층고가 높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뜻한 분위의 조명과 재료를 사용하여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있다. 81개의 객실은 공원으로 전망하도록 일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현대.. 2023. 8. 30. 주택 디자인| 생명력을 지닌 주택 | Hemeroscopium House | 2008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PC구조 ▶형태는 없어지고 생명력을 지니는 PC(precast concrete) 구조의 주택 | Fantastic precast concrete Homes 1년 간의 정확한 설계를 통해 7일 만에 현장에서 조립 및 완성되는 건축물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의 안전성과 정확성,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등 PSC(Prestressed Concrete) 구조로 지어진 단독주택이다. 토목에 주로 사용되는 이 구조방식을 건축디자인에 적용하여 구조의 특성과 공장 제작이라는 방식을 주택이라는 건축물에 반영하여 경쾌함 만들어 내고 있다. 밀리미터 단위까지 완벽하게 엔지니어링 된 고정밀 한 건축을 만들어야 하는 디자인으로 절대적으로 단순하고 단일 프로세스로 적용되어야 .. 2023. 8. 29. GFRC| 유리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특징, 클래딩 상세, 적용사례 #오늘의pick #건축설계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GFRC #유리섬유보강콘크리트 ▶GFRC(유리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특징, 클래딩 상세, 적용사례 GFRC(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는 유리섬유보강 콘크리트이며, 일반적으로 GFRC에 Polymer를 첨가하여 제품의 물성을 강화시킨 재료이다. 초경량, 고강도의 특성과 간편한 모듈 성형방식으로 제작되어 디자인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한 형태구현이 가능하다. 섬유가 골재를 얼기설기 붙잡고 있어 힘이 가해졌을때 기존 콘크리트보다 큰 저항성을 갖는다. 덕분에 급작스러운 균열이나 붕괴를 막고 내진용 구조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거푸집에 분사해서 타설하기 때문에 비정형 작업에 유리하지만 아직 물리적 인장과 강도에 대한 자료나 검증은.. 2023. 8. 25. 공동주택 | 치료와 치유를 위한 집합주거| Carpe Diem Dementia Village | 2020 #오늘의 PICK #건축디자인 #리노베이션 #메이크리메이크 #건축설계 #치료와치유 #환자중심계획 ▶치료의 목적과 환자중심의 치유환경으로 조성된 치매환자를 위한 마을같은 공동주택 | Dementia Village | 병원 | 공동주택 치매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치료 및 주거센터(치유센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인구 노령화에 따라 중요하게 문제 되는 게 치매 노인을 위한 더 좋고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환자중심의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본 건물은 건물로 둘러싸여져 있는 중정형 건물형식을 취하고 있다. 치매환자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 파악된다. 건물은 3층 높이로 136개의 공동주택 주거시설과 22개의 치매치료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주택의 공동생활공간인 커뮤니티시설은 편안함과 친숙함을 중심적.. 2023. 8. 24. 탄화목| 목재의 열처리에 따른 다양한 색상변화 | 열처리목재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인테리어 #탄화목 #열처리목재 #다양한색상변화 ▶목재의 열처리 과정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목재의 자연적인 색상 변화의 놀라움 1. 가열과 건조 먼저 나무를 말려야 한다. 이전에 가마에서 건조했든 친환경적으로 건조했든 상관없다. 초기 조건은 2단계에 필요한 건조 수준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 비용에만 영향을 미친다. 목재를 가마에서 건조하는 과정과 달리 아세틸화 방법에는 25%의 추가 에너지가 필요하다. 수분함량이 거의 0%가 되면 두번째 단계가 시작된다. 2. 열처리 열처리 과정에서 최종 제품의 원하는 특성과 품질에 따라 목재는 섭씨185~215도의 온도까지 추가로 가열된다. 온도가 높을 수록 내구성과 치수안정성이 높아진다. 온도가 높을 .. 2023. 8. 23. 주택 디자인| 기후를 반영하는 건축과 공간 | Jungle House | 2016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인테리어 ▶철기둥, 캐노피를 활용한 경계를 흐리는 방법 | 기후를 반영하는 건축과 공간 | 주택 열대우림에 파뭍혀 있는 주택(Jungle House)은 건물의 형태보다 공간에 집중되어 있다. 아마존 정글은 계절의 변화 없이 일년 내내 더운 날씨를 보이고 연중 강수량이 많고, 스콜이라는 소나기도 거의 매일 내린다. 식물의 밀도가 상당히 높아 건물은 그 존재를 드러내기 어렵다. 그래서 건물은 아예 자연과 연속된 공간의 흐름을 가지려고 한다. 건물과 자연과의 경계를 없애기 위한 몇 가지 노력이 돋보인다. 건물의 모든 경계는 벽으로 막지 아니하고 지붕이 자연으로 향하는 캐노피를 가진다. 그리고 정글바로 옆으로 건물을 순환 할 수 있는 산책로를 만들었다. 2층과.. 2023. 8. 22. 주택 디자인| 다섯개의 지붕으로 하나가 된 집 | in Nagoya | 2011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인테리어 ▶다섯개의 지붕으로 하나가 된 집 | Complex House 이 집은 5개의 지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교차된 지붕으로 인해 삼각형의 고창을 만들게 된다. 1층을 공용공간의 역할을 하는 거실과 주방, 게스트룸을 두고, 중정과 테라스와 연계하여 1층은 주변도로와 이웃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있다. 지붕의 어긋나면서 반복되는 모습은 건물의 인상을 만들어내고, 1층 깊숙히 채광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마법같은 역할을 완전히 해 내고 있다. This alternating roof creates a series of triangular windows on the first floor of the two-storey residenc.. 2023. 8. 21. 스테인리스 스틸| STS의 특징과 표면연마 처리방식과 사례 #건축재료 #스테인리스스틸 #표면연마방법 #STS #STS숫자의숨겨진비밀 ▶스테인리스 스틸(STS)의 분류와 그뒤 적힌 숫자의 의미 | 표면연마 처리방법의 특징과 적용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용어인 STS(SUS)의 차이를 알아보고, 분류와 그에 따른 우리 생활에 사용되는 분야에 대해서 간략히 조사한다. 건축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재료로써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 연마의 방식과 표면의 변화된 모습의 사례를 살펴본다. 1. 스테인리스 스틸의 분류 2.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연마 방식 3. 표면연마에 따른 제품이미지 4. 스테인리스 스틸의 건축 파빌리온 사례 1. 스테인리스 스틸(STS)의 분류 STS와 SUS는 스테인레스강의 재질을 구분하는 규격으로 STS는 KS규격에 포함된 스테인레스강의 .. 2023. 8. 18. 사무실 인테리어| 브랜드 이미지를 공간에 투영하다 | Runxuan Textile Office ##오늘의pick #사무실인테리어 #OFFICES INTERIORS #금속과직물 #사옥설계 ▶천(Fabric) 브랜드의 이미지를 작업공간에 통합한 사무실 인테리어 곡선의 디자인은 천의 유연함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내외부 모두 흰색 색조로 되어 있으며, 흰색의 금속 알미늄 루버와 그 배경은 검정색 색조를 이루어 대조의 레이어링을 이루고 있다. 흰색 알미늄 루버는 입면의 전체의 파사드와 1층 실내 천장까지 이어져 촘촘하게 짜여진 실의 줄 처럼 보여 정돈된 선들이 건물전체를 감싸고 있다. 면과 실을 직설적으로 해석하여 천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입체적인 시각효과를 연출하여 내외부 통일성을 구현했다. 실내의 물결치는 천장은 공간에 강한 건축적 감각을 부여하고, 마치 베틀 아래에 서 있는 것 같다. 브랜드의 .. 2023. 8. 17. CAFE| 카페와 미술관 그 어디쯤의 공간 | Zolaism Café | 2021 #오늘의pick #리모델링 #미술관 #갤러리 #카페 #CAFE #coffee shop ▶생활 속에 깊이 들어선 미술관이 되어가는 카페 | coffee shop 건축이 감성의 가치를 부각시키기 위해 오늘날의 공간은 기능 뿐 아니라 감정과 기억을 담는 그릇의 역할이 필요하다. 카페 앞 탁 트인 작은 광장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며 자연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한다. 건물의 세면이 커튼월로 되어 최대한 투명한 방식을 고수하고 지면과 지붕사이에 돌이 끼여진 형태를 하여 조각 전시장을 연상케 한다. 유리의 가벼움과 투명성과 돌의 거친 질감과 크기에 의한 무게감이 유리와 시각적인 대비를 이루고 있고, 빛에 의해 돌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질감의 그림자가 역정성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바위와 일체화된 좌석, 바위 속동.. 2023. 8. 16. CAFE| 하늘과 구름으로 채워진 신비한 카페 | S.Engine Fengshengli-Cafe | 2018 #오늘의pick #카페디자인 #CAFE #coffee shop #아뜨리움 #리모델링 #인테리어 ▶번화가에 위치한 조용한 카페: 하늘과 구름으로 채워진 coffee shop 중국 상하이의 가장 번화한 쇼핑지구에 위치한 카페는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 속에서 휴식과 평화로움을 주기 위한 공간컨셉으로 디자인되었다. 흰백색의 공간과 하늘로 열려진 원형의 아뜨리움, 그리고 공중에 떠있는 2층의 구름과 같은 카페공간이 사람들에게 바쁜일상에 영혼의 자유로움을 선물하고 있다. 공간이 가진 원형의 모습이 천창의 빛으로 인해 형태와 공간이 더욱 부각된다. 이 도시의 거리와는 대비되는 정적인 공간으로 디자인 되었다. Text description provided by the architects. The Cafe is loca.. 2023. 8. 16. 유치원 디자인| 모서리가 둥근 공간 전략 | Sanmin Kindergarten | 2020 #오늘의pick #유치원 #모서리벽 #공간전략 ▶모서리 벽을 둥글게 처리한 유치원 건물의 공간전략 평면의 모든 벽체 모서리를 직각이 아닌 곡면으로 구부려 다양한 공간과 연속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아이들의 안전한 학교생활을 고려한 모서리 디자인이기도 하다. 모든 구조적 벽은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되며 효율성과 유동성 그 어딘가의 균형을 이루려고 한다. 벽의 볼록면과 오목면의 반복은 공간 사용면에서도 이중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다. 모서리가 곡면 처리되어 공간을 끝을 파악하기 어려워 지속적으로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며, 그 효과는 실내에서 뿐 아니라 실외에서도 동일하게 확장 적용된다. 색상에 있어서는 흰색 배경의 유치원 건물은 아이들의 알록달록한 패션과 그 옷을 입고 활동하는 그 모습이 더욱 부각하는데 도움을.. 2023. 8. 14. 주택 디자인| 작지만 완벽한 시골주택 | Shelter in Montaria | 2015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포르투갈 #시골주택 #작은집 ▶가파른 경사지에 지혜롭게 앉혀진 완벽한 작은주택 | 시골주택 Portuga Montaria(포르투갈) 지역의 시골 마음에 위치한 가파른 경사지 주택이다. 지형이 가파르고 건물을 뒷쪽으로 후퇴하여 시골길의 풍경을 해치지 않는 방향으로 디자인이 되다보니 주택의 일부가 땅에 묻혀지게 되어 지면과 닿는 뒷부분을 중정을 만들어 채광과 환기를 좋게 하였다. 주택은 거실,주방이 하나의 공간으로 되어 있고, 침실과 침실에 딸린 화장실이 거실과 연결된 60제곱미터(15평)정도의 작은 규모의 단층주택이다. 주택 상부의 옥상은 실외수영장으로 되어있으며, 외부계단을 통해 연결된다. 지붕의 수영장으로 인해 필로티와 같은 비를 피하는 처마와 같은 .. 2023. 8. 13. 주택 디자인| 작은집도 넓게 사용할 줄 아는 주택 | House in Mukainada | 2015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일본주택 # ▶집 밖과 집안이 연결되는 산책로가 있는 순환하는 집 집주인의 요구로 정원 가꾸기를 즐기는 노부부에게 산책로가 있는 집을 제안했고, 향후에는 잡화점과 갤러리, 워크숍을 열 수 있는 넓은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도로, 전망, 채광, 인접대지와의 프라이버시 등을 고려하여 대지의 형상을 따르지 않고 축이 어긋나도록 배치하였다. Western Red Cedar 목재는 외벽에 사용되고 Oak 및 Kempas 바닥재는 내부 바닥에 사용하였고, 원형의 큰 외부공간이자 조경공간이 실내 거실을 연결하여 큰 순환을 만들어 내어 산책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동선의 연결을 넘어서 천정의 모습과 바닥마감재의 분리 등 공간 또한 원형의 모습을 유지한 채 산책로가 연속.. 2023. 8. 11. 주택 디자인| 경사지에 딱 어울리는 주택 | Santiago Viale | 2015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주택디자인 #땅속집 ▶ 걸어서 내려가는 기분이 묘한 땅속집 | 경사지를 활용한 옥상녹화 단독주택 경사지를 활용하여 건물을 땅에 묻고 흙과 접하는 부분을 일부 진입정원으로 활용하였다. 경사지의 특성상 다소 지형이 높아 경관이 좋으며, 건물을 평지붕형식으로 전체 옥상녹화를 하여 옥상정원과 원경의 산지가 시각적인 개방감이 연속되도록 건물을 땅속에 묻은 집이다. 부분적으로 채광의 문제가 되는 부분은 천창을 활용하였고, 최고 높은 레벨에서 건물입구로 진입하기 위해서 펼쳐진 전망을 보면서 지하로 내려 걸어가는 기분이 신비롭기까지 하다. 옥상의 녹지와 돌을 쌓아만든 옹벽이 지형적 특징을 강조하며 주변경관과 어우러짐이 좋은 주택이다. Text description p.. 2023. 8. 11. 주택 디자인| 접힌 벽 하나로 설명되는 주택 | House with One Wall | 2007 #오늘의pick #단독주택 #리모델링 #리노베이션 #인테리어 #단독주택 #스위스주택 ▶전공자만 이해 할 수 있는 주택디자인 | 접힌 벽 하나로 설명되는 주택 이 집은 가운데 벽하나가 볼록과 오목을 반복하며 각층마다 다르게 설치된 접힌 벽이 있다. 이 벽은 건물의 중간에 위치하여 건물을 지탱하는 유일한 구조내력벽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두 가구가 분리되어 살 수 있도록 구분되는 벽이다. 접힌 벽 또는 주름벽의 생김은 구조적인 이유와 동시에 전체 유리된 이 건물의 전망을 결정한다. 개념이 무척 단순하지만 결과적으로 매우 복잡하게 만든다. 접힌벽은 마치 종이를 접어 세울 수 있는 것처럼 넘어지지 않도록 접힌 부분이 있고 벽은 한쪽은 넓은 공간 다른 쪽은 좁은 공간을 반복하며 모든 층은 하나의 방이면서 긴 형태로.. 2023. 8. 11. 이전 1 2 3 다음